본문 바로가기

광주FC/2011

우주 멸망의 가능성을 보다. K리그 팬들 사이에서는 언제부턴가 출처를 알 수 없는 괴소문이 돌기 시작했다. 정확한 시기는 알 수 없지만 대략 작년 시즌부터가 아닌가 싶다. 그 괴소문은 바로 ‘삼동현이 한 라운드에서 동시에 골을 넣으면 지구가 멸망한다’이다. 이 무시무시한 괴소문의 주인공인 ‘삼동현’은 과연 누구일까? 그 ‘삼동현’은 부산에서 뛰고있는 양동현, 강원에서 뛰고있는 서동현, 상주에서 뛰고있는 김동현을 지칭한다. 이들의 공통점은 겉으로 드러나듯이 이름이 같다는 점과 포지션이 공격수라는 점, 그리고 어느 정도의 실력이 되는 선수이지만 약속이나 하듯이 비슷한 시기에 부진을 겪고 있다는 점이다. 그나마 부산의 양동현 선수는 최근 부진에서 벗어나 나름대로 괜찮은 모습을 보여주면서 선전하고 있다. 하지만 필자가 다루고자 하는 것은 .. 더보기
황사도 막지못한 광주의 상승세 광주가 또 승리하면서 창단 첫 2연승을 달성했다. 광주는 5월의 첫 날 광주 월드컵 경기장에서 열린 2011 K리그 8라운드 경기에서 대전과 맞붙었다. 나름대로 리그 초반 선전했지만 최근 성적이 신통치 않은 대전과 지난 일요일 서울에게 승리하며 바닥을 치고 올라갈 준비를 하고 있는 광주. 대전은 분위기 반전을 위해서 승리가 절실했고, 광주는 지난 일요일 승리의 상승세를 이어가기 위해서 승리가 필요했다. 결국 가난한 두 시민구단에게 이 경기는 멋진 터닝포인트가 될 수 있는 중요한 경기였다. 최악의 황사로 관중이 확 줄어버릴 것이라는 예상을 했지만, 지난 일요일 서울전의 승리 덕분인지 생각보다는 많은 관중이 찾아왔다. 그리고 경기장을 찾아준 관중에게 보답이라도 하듯이 우리 선수들은 여느 때 처럼 최선을 다하.. 더보기
[인터뷰] 광주FC의 캡틴 박기동 선수를 만나다. 이번 인터뷰의 주인공은 광주FC의 ‘캡틴’ 박기동 선수이다. 그라운드 내에서 항상 무표정한 얼굴을 하고 다니는 박기동 선수. 실제 성격도 그의 표정처럼 내성적이고 차가워서 인터뷰하는데 애를 먹는 것은 아닌가 하고 걱정했지만, 예상과 달리 그는 결코 무뚜뚝하고 재미없는 선수가 아니었다. 수다쟁이 수준은 아니었지만, 충분히 상대방으로 하여금 즐거운 대화를 할 수 있도록 상대를 배려할 줄도 알고, 나름대로 유머감각도 가지고 있는 멋진 선수였다. 광주FC를 대표하는 주전 골잡이, 역사적인 광주FC의 첫 골을 성공시킨 주인공, 그에 이은 국가대표 발탁, 팀의 에이스를 상징하는 10번을 달고 뛰는 선수. 워낙 유명한 선수인데다가 팀의 중심인 주장을 맡고 있는 선수이니 별다른 설명은 필요 없을 것 같다. 말 그대로 .. 더보기
[인터뷰] 광주FC의 귀요미 '요박' 박요한 선수를 만나다. 이번 인터뷰의 주인공은 광주FC의 귀요미 ‘요박’ 박요한 선수다. 비록 아직 실전에는 투입되지 못했지만, 충분한 가능성을 가지고 있으며, 팬들 역시 상당히 많은 재밌는 선수다. 또한 우리 지역 출신의 선수라는 점에서 더욱 더 눈여겨봐야 할 선수다. 사실 이제까지 필자가 이승기 - 유종현 - 김은선 - 박요한 선수를 줄줄이 인터뷰하면서 가장 본인의 나이와 어울린다고 생각한 선수가 또한 박요한 선수다. 사실 우리 선수들은 1985년생인 필자에 비해서 보통 3~5년 씩은 어린 우리 선수들인데, 실제로 만나보면 동생이라는 느낌을 전혀 받을 수 없었던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박요한 선수는 그래도 동생 같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었다. 그만큼 표정과 말투가 해맑고 다른 선수들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덜 ‘삭았다’고 생각.. 더보기
부활절에 새롭게 부활한 광주의 주작들! 24일 광주 월드컵 경기장에서 열린 FC서울과의 리그 7라운드 경기. 개막전 이후 컵대회 포함 승이 없었던 광주FC! 괜찮은 경기력에도 불구하고 항상 2%부족한 마무리 때문에 승리의 문턱을 넘지 못하고 주저앉았던 광주가 요새 성적이 신통치 않은 디펜딩 챔피언 FC서울과 홈에서 격돌했다. 사실 객관적인 전력을 놓고 봤을 때 광주가 서울을 이길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보는 것이 옳았다. 스포츠 복권을 하는 사람들 역시 죄다 서울에 베팅을 했다. 자존심 상하는 일이지만, 비기기만 해도 광주로서는 나쁘지 않은 결과였다. 하지만 광주에게 전혀 희망이 없는 것은 아니었다. 사실 말이 디펜딩 챔피언이지 FC서울의 올 시즌 성적은 신통치 않은 정도가 아니라, 바닥에 가깝다. 선수단 스쿼드가 나쁜 것도 아니다. 까놓고 말.. 더보기
이운재의 선방쇼와 유동민의 발견 올 시즌 광주의 첫 야간 홈경기. 평일 야간인데다가 컵 대회라서 그런지 평소보다 관중수가 눈에 띄게 줄었다. 강원과의 원정경기에서 0:5의 대패, 그리고 부산과의 원정경기에서 안타까운 0:1의 패배. ‘그깟 종이컵 대회’라고 위로해보지만, 어쨌거나 사실상 광주에게 컵 대회의 선전은 이미 물 건너간 일이 되어버리고 말았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리그에서 시험해보지 못한 새로운 전술을 사용해 보거나, 새로운 선수를 투입해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컵 대회의 중요성과 재미 역시 함부로 치부해 버릴만한 성질의 것은 아니다. 그리고 이날 전남과의 경기 역시 예외는 아니었다. 사실 광주 팬의 입장에서 전반전은 참으로 지루한 경기였다. 나름대로 공격을 시도하기 위해서 이리저리 공을 돌리고, 호시탐탐 상대 수비진의 허.. 더보기
심장이 뛰는 한 광주답게! 2011 K리그 6라운드 경기. 이번에는 전주 원정이다. 나름대로 호남지역 팀들 간의 경기라서 팬들의 관심도 높았고, 날씨 또한 화창해서 경기장에 사람도 많았다. 또한, 상주전의 경기력을 보고 팬들의 기대감이 높아진 것도 사실이다. 과연 전북전에는 우리 선수들이 어떤 모습을 보여줄지 팬들의 기대가 매우 컸다. 어쨌거나 우리 선수들에게 힘을 불어넣어 주기 위해서 이렇게 화창하고 놀러가기 좋은날 광주 팬들은 단체로 전주성을 찾았다. 경기가 시작하자마자 우리에게 절호의 기회가 찾아왔다. 페널티킥 찬스였다. 그리고 개막전에서 페널티킥을 성공시킨 김동섭 선수가 키커로 등장했다. 비록 객관적인 전력에서 전북과 광주는 차이가 많이 나는 팀이지만, 공은 둥글기 때문에 이 찬스를 골로 연결시킨다면 우리는 생각보다 쉽게 .. 더보기
[인터뷰] '초작살 간지남 짐승돌' 김은선 선수를 만나다. 광주FC라는 팀 창단 이후 가장 먼저 필자의 눈에 들어온 선수가 한 명 있다. 필자는 그 때까지만 해도 연습경기를 제외하고 나면 우리 선수들의 플레이를 제대로 본 적이 없었고, 선수단의 얼굴도 제대로 알지 못했다. 그래서 이제 막 생긴 구단 홈페이지를 여기저기 둘러보다가 ‘희귀캐릭’ 하나를 발견했다. 그게 바로 김은선 선수다. 이름은 여자이름인데 사진을 보니 전혀 이름과 어울리지 않는다. 임하람 선수나 임선영 선수는 그래도 이름과 외모가 좀 어울리는 편인데 이 선수는 전혀 딴판이다. 프로필 사진을 보니 머리모양도 예사롭지 않다. 게다가 콧수염도 길렀다. 나중에 알고 보니 팀의 부주장 이라고 한다. 도대체 이 선수가 뭐하는 선수인지 너무나도 궁금했다. 이제서야 밝히는 바이지만, 필자는 우리 팀 선수들을 인.. 더보기
군인정신을 압도한 광주FC의 패기 광주FC와 상주 상무의 2011 K리그 5라운드 경기. 나름 군인정신과 화려한 멤버를 바탕으로 리그에서 돌풍을 일으키고 있는 상주 상무와 매번 경험과 뒷심 부족으로 인하여 연패를 달리고 있는 광주FC. 광주 팬의 입장에서 내심 우리 선수들이 이겨줬으면 하는 바람이 있었지만, 홈 경기임에도 불구하고, 아무래도 무게 중심이 상주 상무쪽으로 쏠리는 것은 어쩔 수 없는 사실이었다. 우선 스타팅 멤버부터 상주는 '레알 상무'다운 모습을 보여줬다. K리그에 별 관심이 없다고 하더라도 웬만한 사람들은 다 아는 김정우, 최효진, 김치우, 김치곤 등을 포함한 국대급 멤버가 선발 출장했다. 물론 우리 선수들도 그 또래의 신인 선수들 중에서는 날고 긴다는 선수들이 다 모였지만, 솔직히 네임 밸류로만 따지자면 골리앗과 다윗의.. 더보기
만감이 교차했던 부산 원정 지난 강원전의 0:5 패배를 뒤로하고 새롭게 떠나는 부산 원정! 올 시즌 두 번째 열리는 야간경기! 아무래도 컵 대회 경기라서 리그 경기에 비해서는 관심도가 떨어지는 것이 사실이었다. 게다가 평일 야간경기라서 원정 응원을 떠나는 이도 극소수에 불과했다. 하지만 우리 선수들이 뛰는 경기니 관심을 갖지 않을 수 없다. 결국 필자도 그 엄청난 유혹을 이기지 못하고 부산으로 향했다. 어마어마하게 큰 부산 아시아드 경기장. 그러나 관중이 없다. 사진은 경기 1시간 전 모습. 어마어마하게 큰 부산 아시아드 경기장! 하지만 그 크기가 무색할 정도로 관중 수는 적었다. 아무리 평일 야간경기라지만 부산 사람들이 그토록 좋아하는 롯데의 홈경기가 있는 날도 아닌데 정말 너무나도 사람이 없었다. 상무시절 광주의 비오는 날 평.. 더보기